문제
"OOXXOXXOOO"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.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,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.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. 예를 들어, 10번 문제의 점수는 3이 된다.
"OOXXOXXOOO"의 점수는 1+2+0+0+1+0+0+1+2+3 = 10점이다.
OX퀴즈의 결과가 주어졌을 때,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문제풀이
1. 문자열 갯수를 입력받는다.
2. 문자열들을 입력받는다.
3. 각 문자열의 문자 1개가 O인지 X인지 확인한다.
4. O라면 tmp_sum을 1 증가시키고 그 문자 이전 문자가 O인지 확인하고 만약 O라면 tmp_sum을 증가시키고 3,4 과정을 반복한다.
5. 만약에 검사 도중 X가 나온다면 반복문을 탈출한다.
6. sum에 tmp_sum을 더하고 tmp_sum을 0으로 만든다.
7. 문자열 검사를 모두 마쳤다면 sum을 출력하고 sum을 0으로 만든다.
8. 모든 문자열에 대해서 3-5를 반복한다.
요약: 그냥 우리가 앞에서 세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고 값을 더한다.
소스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|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/*
1. 문자열 갯수를 입력받는다.
2. 문자열들을 입력받는다.
3. 각 문자열의 문자 1개가 O인지 X인지 확인한다.
4. O라면 tmp_sum을 1 증가시키고 그 문자 이전 문자가 O인지 확인하고 만약 O라면 tmp_sum을 증가시키고 3,4 과정을 반복한다.
5. 만약에 검사 도중 X가 나온다면 반복문을 탈출한다.
6. sum에 tmp_sum을 더하고 tmp_sum을 0으로 만든다.
7. 문자열 검사를 모두 마쳤다면 sum을 출력하고 sum을 0으로 만든다.
8. 모든 문자열에 대해서 3-5를 반복한다.
` */
// 1.
int n = Integer.parseInt(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.nextToken());
// 2.
String[] str = new String[n];
for(int i = 0; i < n ; i++) {
str[i] = br.readLine();
}
int sum = 0;
int tmp_sum = 0;
// 7.
for(int k = 0; k < n ; k++) {
for (int i = 0; i < str[k].length(); i++) {
for (int j = i; j >= 0; j--) {
// 3. 4.
if (str[k].substring(j, j + 1).equals("O")) tmp_sum++;
// 5.
else break;
}
//6.
sum += tmp_sum;
tmp_sum = 0;
}
// 7.
bw.write(sum+"\n");
sum = 0;
}
bw.flush();
bw.close();
}
}
|
cs |
이때 비교하는 과정에서 "O" == "O"가 왜 안되는지 골머리를 썩었었다. 그러다가 java에서는 객체끼리 비교하면 당연히 그 객체의 번호를 비교하기 때문에 다르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. 그걸 깨닫고 equals()메소드를 이용해서 비교하니 되는 걸 보고 내가 얼마나 무지했는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.
'백준 온라인 저지 문제풀이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ekjoon 15596번] 함수 - 정수 N개의 합 (0) | 2020.12.02 |
---|---|
[baekjoon 4344번] 1차원 배열 - 평균은 넘겠지 (0) | 2020.12.02 |
[baekjoon 1546번] 1차원 배열 - 평균 (0) | 2020.12.02 |
[baekjoon 3052번] 1차원 배열 - 나머지 (0) | 2020.12.02 |
[baekjoon 2577번] 1차원 배열 - 숫자의 갯수 (0) | 2020.12.02 |